Copyright (C) 커널연구회 (www.kernel.bz)문서작업: 정재준(rgbi3307 골뱅이 nate.com)문서위치 메인(출처): http://www.kernel.bz/SmartHomeM아래 내용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단, 저자정보는 지우지 말고 공유하시고 출처를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마지막 수정일: 2018-03-08 원격 데스크탑 연결방법이번장은 PC나 노트북에서 스마트홈M을 원격 데스크탑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래 내용을 그대로 따라서 해보기 바란다. 스마트홈M에는 무선 WiFi AP가 동작되고 있다. SSID는 SmartHomeM0로 검색된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다음과 같이 스마트홈M에 무선으로 원격 연결한다. (윈도우 기준 설명) 윈도우 메뉴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난다. Wi-Fi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나타난 팝업메뉴에서 “사용” 메뉴를 클릭한다. 다시 Wi-Fi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나타난 팝업메뉴에서 “연결” 메뉴를 클릭한다. 연결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주변에서 WiFi을 검색하여 접속할 수 있는 SSID을 표시해 준다. SmartHomeM01이 스마트홈M에 접속할 수 있는 SSID이다. SmartHomeM01을 선택한후 “자동으로 연결”을 체크하고 연결 버턴을 누른다. 다음과 같이 접속 암호를 물어보면 kernel.bz 을 입력한다. 위의 연결암호는 입력할 때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한번 연결이 되면 다음부터는 암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연결된다. 잠시 기다리면 SmartHomeM01에 연결되었다는 메시지가 나타날 것이다. 연결되면 네트워크 연결창에서 Wi-Fi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나타난 팝업 메뉴에서 다음과 같이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WiFi 상태 정보창에서 자세히 버턴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세부 정보창이 나타난다. 위의 세부정보에서 DHCP서버 10.40.0.1, DNS 서버 10.40.0.1이 스마트홈M의 아이피 정보이다.스마트홈M의 네크워크 아이피가 10.40.0.1라는 것이다. 이제 다음과 같이 실행하여 스마트홈M에 원격 접속해 보자. 윈도우 메뉴에서 실행을 클릭한후, 실행창에 mstsc을 입력하고 확인 버턴을 누른다. mstsc는 윈도우에서 실행되는 원격연결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원격 데스크탑 연결 창이 나타나면서 원격 연결이 진행된다. 위의 창에 원격 연결 대상인 스마트홈M의 아이피(10.40.0.1)를 입력한후 연결 버턴을 클릭한다. 위의 창은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확인하는 창이다. 예(Y) 버턴을 클릭하여 원격 연결을 진행한다. Session은 Xorg 그대로 사용한다.username란에는 pi을 입력한다.password란에는 kernel.bz을 입력한다. 위와 같이 입력한후 OK 버턴을 클릭하면 접속이 진행된다. 잠시 기다리면 다음과 같이 스마트홈M에 접속하여 그곳의 바탕화면이 나타난다. 이제 스마트홈M에 연결되었다. 아래 메뉴들은 스마트홈M에 있는 것이므로 그곳에서 내PC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홈M에는 라즈베리파이 리눅스 배포본이 설치되어 있다. 커널연구회는 라즈베리파이 리눅스 배포본을 스마트홈M에 포팅하여 실습하기 편리하도록 다음과 같은 유용한 패키지 프로그램들을 미리 설치해 두었다. 네트워크 연결 환경 설정 한글 입력 설정 윈도우와 리눅스 파일공유(삼바) 패키지 설치 NFS(Network Fie System) 설치 웹브라우즈(FireFox) 최신 버전 설치 통합개발환경 코드블락 설치 웹서버 설치 DBMS(MySQL, SQLite) 설치 기타 궁금한 사항은 아래에 댓글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